민사
[민사 승소사례] 대여금 및 연대보증채무 청구소송 전부 승소
img
img
img
유연, 김미래, 김지환 변호사

KakaoTalk_20251111_155950639.jpg

의뢰인(원고, A 주식회사)은 물류창고 신축을 위한 PF대출과 관련하여 피고 C 주식회사에 23억 원을 대여하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피고 E, F, H 각 주식회사 및 개인 D, I는 연대보증계약을 체결하여 주채무자인 C의 채무를 공동으로 보증하였습니다.

 

그러나 대출 만기일 이후에도 피고들이 대여금 잔액을 변제하지 않아, 원고는 대여금 잔액 15억 8,300만 원 및 약정 연체이자(연 15%)의 지급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KakaoTalk_20251111_155950698.jpg

 

피고들은 원고가 「금융소비자보호법」상 ‘금융상품판매업자’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금융소비자보호법 제20조 제1항 제2호를 위반하여 부당하게 보증을 요구한 것이므로, 연대보증계약은 무효 또는 취소·해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원고는 본 건 대출은 일반적인 투자 성격의 PF(Project Financing)대출로서 금융상품의 판매행위에 해당하지 않으며, 원고는 금융상품판매업자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KakaoTalk_20251111_155950776.jpg

 

법원은

① 원고가 피고 C에게 23억 원을 실제로 대여하였고,

② 피고 E, F, H, D, I가 연대보증계약을 통해 해당 채무를 공동으로 부담하기로 한 사실,

③ 피고들이 약정된 대출만기일 이후에도 대여금 잔액을 변제하지 않은 사실을 인정하였습니다.

 

또한 법원은 원고가 금융소비자보호법상 금융상품판매업자에 해당한다는 증거가 없다고 판단하여, 피고들의 주장을 배척하였습니다.

그 결과, 법원은 피고 전원에게 대여금 15억 8,300만 원 및 연 15%의 지연손해금 지급의무를 인정하였습니다.

 

KakaoTalk_20251111_155950852.jpg

 

본 사건은 PF사업 관련 대출 및 연대보증계약의 효력을 둘러싼 분쟁에서, 원고의 대여계약 구조와 법적 지위를 명확히 입증함으로써 승소한 사례입니다.

특히 상대방이 금융소비자보호법 위반을 근거로 연대보증의 무효를 주장하였음에도, 원고가 금융상품판매업자가 아니라는 점을 입증함으로써 법원이 이를 명확히 배척하였습니다.

 

KakaoTalk_20251111_170605954.png